위 대장 항문질환2018. 6. 4. 08:16

신월동항문외과, 항문협착증에 대해 알아봐요!

 

 

 

 

 

항문협착증의 원인

항문협착증은 치핵절제술과 같은 항문 수술, 염증성 장질환 및 방사선조사 등의 2차적인 원인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치핵절제술을 시행할 때 과도한 점막절제술 때문인데, 2차적으로 발생하는 항문 협착의 90%이상이 치핵절제술입니다. 이 외에도 염증성 장질환 및 크론병에 의한 항문 협착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크론병에 의한 항문 협착의 특징으로는 항문관 전층에서 염증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항문 전체가 반흔으로 좁아지게 되는데 심할 경우 항문 입구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의 항문 협착의 원인으로는 직장과 항문의 방사선조사, 직장의 저위전방술 후 문합부 누출, 후천성면역결핍증, 기타 감염 등이 있습니다.

 

 

 

 

 

 

항문협착증 증상과 진단

주로 나타나는 증상은 배변곤란과 항문통증입니다. 항문출혈, 잔변감, 변비, 대변 굵기의 감소 등이 동반되는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협착이 심할 경우 문진을 해보면 장기간 하제, 좌약, 관장약을 사용하셨던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약제들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협착을 오히려 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항문협착증은 이학적 검사(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로 간단히 확진이 가능한데, 눈으로 관찰했을 시, 과거 수술에 따른 협착은 반흔조직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습진성 병변이 동반되었다면 보웬병, 파제트병, 항문암 등일 경우도 있어 전문의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항문협착은 정도에 따라 경도(손가락 하나 들어갈 정도), 중증도(확장을 해야 손가락 하나 들어갈 정도), 중증(새끼손가락이 강제로 밀어야 들어갈 정도)로 나눠지는데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손가락 2개가 들어가야 정상입니다. 항문협착증 검사를 위해서는 직장수지검사를 하는데요, 종종 환자의 통증이 심해 직장수지검사를 제대로 진행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항문관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마취 후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직장항문생리학적 검사로는 항문내압검사가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 검사로 직장순응도, 괄약근압력,  직장항문억제반사, 직장항문감각검사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문내업검사는 항문 협착 진단의 보조적 진단으로는 유용하지만 이 검사를 근거로 수술을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수술의 적응은 환자의 병력과 증상기간, 협착의 정도, 숙련된 외과의사의 경험 등으로 결정되게 됩니다.

 

 

 

 

 

항문협착증의 치료

항문 수술 후에 발생하는 항문 협착의 가장 좋은 치료는 예방입니다. 치핵절제술 이후 섬유소 섭취 등으로 대변의 굵기를 유지시켜주어 자연적으로 항문이 확장되도록 하는 것도 예방법으로 좋습니다.


1. 보존적 치료

가벼운 항문 협착은 보존적 치료를 우선으로 합니다. 따뜻한 물에 들어간다거나 좌욕을 해주는 방법이 있고, 좌약 등을 통해 저절로 항문이 부드러워지도록 하는 보전적 치료가 있습니다. 배변완하제, 섬유소제제 등을 통해 충분히 배변을 원활하게 하고 대변 굵기를 굵게 하여 점차적으로 항문이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평소 식사를 할 때에도 변이 묽어지거나 설사를 하지 않도록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과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내과적 치료

항문 협착증이 심할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수술은 반흔(흉터)의 정도, 환자의 증상, 위치, 항문관 점막 결손상태 등에 따라 결정되는데, 항문 입구의 밴드형 협착은 반흔절개술과 내괄약근절개술로 쉽게 교정이 가능하고, 중등도 이하의 항문 협착은 한 곳 또는 여러 곳의 내괄약근절개술만으로도 치료 효과가 좋습니다. 그러나 반흔의 범위가 넓고 깊을 경우엔 점막탈출이 동반되는 중증의 협착은 피판을 이용한 항문성형술을 시도해야 합니다.

 

 

 

 

 

 

수술 후 관리
단순 피판술을 이용한 수술 후에는 1~2일 후 고섬유 식이요법과 함께 팽창성 하제 등을 복용하게 됩니다.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좌욕과 항문청결유지가 도움이 되며 수술 후 설사는 창상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지사제 등을 통해 꼭 교정하셔야 합니다. S자 회전피판술과 같은 광범위 술식 시에는 창상 관리를 위해 3~5일간 유동식을 섭취하고 보통 5일 이후부터 고섬유식이요법을 시작하게 됩니다. 

 

 

 

 

 

 

여러분의 건강주치의 신월동항문외과 강서송도병원은

실력있는 의료진이 언제나 여러분의 건강을 지켜드리고 있습니다.

대장,항문 건강은 신월동항문외과 강서송도병원에서 지키세요.

 

 

  

 

Posted by 강서송도병원